만나이 계산법 계산기로 바로 알아보기

올해 6월부터 대한민국의 만나이 계산법이 변경되었습니다. 생일 지났을 경우와 지나지 않았을 경우에 1살 차이가 나는데요, 아래 만나이 계산기를 통해 바로 내 나이를 알아보시죠!

만나이 계산법을 설명하는 글에서 나이를 의미하는 생일 케이크 사진

만나이 계산법 과 세는 나이의 차이

나이의 종류에는 ‘만 나이’와 ‘세는 나이’가 있습니다. ‘만 나이’는 법률에서 사용되는 나이이고, ‘세는 나이’는 일상 생활에서 사용되는 나이입니다. 이제부터는 법적, 사회적으로 나이를 계산할 때 ‘만 나이’로 통일됩니다.

‘만 나이’와 ‘세는 나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만 나이’는 생년월일을 기준으로 현재 연도에서 뺀 후, 생일이 지났는지 여부에 따라 1을 추가하거나 그대로 사용합니다. ‘세는 나이’는 현재 연도에서 출생 연도를 뺀 후, 1을 추가합니다. 생일에 따라 ‘만 나이’와 ‘세는 나이’는 1살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만 나이와 세는 나이는 왜 다른가요? (만나이 계산법)

이와 같이 ‘만 나이’와 ‘세는 나이’는 생일과 현재 연도에 따라 다르게 계산됩니다. 이제 우리나라에서는 모든 나이 계산을 ‘만 나이’로 통일하게 되었으니, 이 점을 유념하여 나이를 표기하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생일이 안 지났으면 몇 살이라고 해야되나요?

앞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나이를 계산할 때 ‘만 나이’로 통일됩니다. ‘만 나이’는 법적인 측면에서 사용되며, 생년월일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출생 연도와 현재 연도의 차이를 구한 후, 생일이 지났는지 여부에 따라 1을 추가하거나 제외하여 계산합니다. 이렇게 계산된 ‘만 나이’는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나이로 인정됩니다.

예를 들어, 1995년 7월 10일에 출생한 사람이라면, 현재 연도가 2023년이라면 ‘만 나이’는 28세가 됩니다. 출생 연도와 현재 연도의 차이를 계산하고, 생일이 지났기 때문에 1을 추가하지 않습니다.

이와 같이 ‘만 나이’는 생년월일과 현재 연도에 기반하여 정확한 나이를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이제부터는 ‘만 나이’가 일상 생활과 법적인 측면에서 사용되므로, 나이 표기와 계산 시 이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Leave a Comment